-
우리 학교 간호학과가 중앙일보 학과평가에서 ‘최상’ 등급을 받았다. 산업공학과와 국어국문학과는 ‘상’ 등급으로 평가됐다. 중앙일보는 이공계 학과와 인문·사회계 학과 평가를 나누어 실시했다. 이공계 평가의 경우 국내 주요 4년제 대학 63곳의 산업공학과·에너지 및 원자력공학과·간호학과 3개 학과를 대상으로 평가했다. 인문·사회계 평가는 국내 주요 4년제 대학 63곳을 대상으로 했다. 경영학과, 국어국문학과, 사회학과 3개 학과가 평가 대상이다. 우리 학교 간호학과는 평가 대상인 전체 37곳의 대학 가운데 가톨릭대, 제주대와 함께 최상 등급을 받았다. 간호학과는 학생 중도탈락률이 낮고 등록금 대비 장학금 비율이 높아 학생 교육 여건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유문숙 전 간호대 학장은 “담임반 제도를 통해 교수가 학생 한명 한명에게 관심과 집중을 쏟을 수 있는 촘촘한 학생지도 시스템을 마련해 두고 있다”며 “교내외 장학금이 풍부해 재학생의 약 55%가 장학 혜택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중앙일보는 교육부 학과 표준분류상 ‘간호학과’로 분류된 학과 37곳을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했다. 교수 연구역량과 여건(6개 지표), 학생 교육 여건과 성과(5개 지표) 2부문으로 평가했다.산업공학과는 ‘상’ 등급을 받았다. KAIST, 서울대, 포스텍 산업공학과가 ‘최상’ 등급으로 평가됐고 우리 학교와 고려대, 연세대를 포함한 5개 대학이 '상'등급에 포함됐다.우리 학교 산업공학과의 경우 교원 1인당 국제논문 편수가 3.63편으로 평가 대상 34개 대학 중 2위에 해당했다. 또 교수 1인당 교내 연구비(1385만)와 교외 연구비(1억9098만원) 역시 각각 4위, 6위를 기록했다. 중앙일보는 교육부 학과 표준분류상 ‘산업공학과’로 분류된 학과 34곳을 대상으로 평가했다. 교수 연구역량과 여건(4개 지표), 학생 교육여건과 성과(6개 지표) 등 2개 부문으로 평가를 진행했다. 한편 인문·사회계 학과 평가에서는 국어국문학과가 ‘상’등급을 받았다. 국어국문학과는 ▲국내 논문당 피인용(2.75회, 8위) ▲순수 취업률(67.9%, 5위) 및 유지 취업률(93.3%, 9위)에서 좋은 평가를 얻었다. 중앙일보는 교육부 학과 표준분류상 ‘국어국문학과’로 분류된 학과 48곳을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
1932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18-09-12
- 9912
- 동영상동영상
-
우리 학교 사이버보안학과에 재학 중인 조윤기 학생이 에서 장려상을 수상했다.조윤기(사이버보안학과 3학년, 제1저자, 사진) 학생과 김지민(대학원 컴퓨터공학과), 지청민(대학원 컴퓨터공학과) 학생이 ‘An efficient way to identify similarity between binary functions by performing pre-processing’이라는 논문으로 기술 분야 장려상을 받았다. 상금 50만원이 부상으로 주어졌다. 홍만표 교수(사이버보안학과)가 지도를 맡았다.한국정보보호학회·한국국제정치학회 주관으로 국가정보원의 후원을 받아 열린 이번 공모전은 국내외 대학·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개최됐다. 공모전은 ▲기술 분야 – 사이버보안 기술 전 분야(네트워크보안, 시스템보안, 응용보안, CPS 보안, 자동차보안, 블록체인 등)와 ▲정책 분야 – 사이버안보 관련 정책(외교안보정책, 법제도 개선방안, 기술정책 제언 등) 부문으로 나누어 열렸다.시상식은 지난 8월24일 제주 롯데시티호텔에서 열렸다.
-
1930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18-09-10
- 9071
- 동영상동영상
-
-
1928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18-09-07
- 8736
- 동영상동영상
-
-
1926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18-09-07
- 9158
- 동영상동영상
-
우리 학교 LINC+사업단이 개최한 ‘2018 대학연합 사회적 벤처기업 청년교류 프로그램(SVYE U+, Social Venture Youth Exchange+University+)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우리 학교와 한양대, 한국산업기술대 LINC+사업단이 공동주관한 이번 프로그램은 올 7월23일부터 8월1일까지 말레이시아 이포 지역에서 9박10일간 진행됐다. 아시아개발은행 본부(ADB Headquarter)와 아시아경영대학원(ASIA School of Business in collaboration with MIT Sloon Management), 말레이시아 글로벌 혁신·창조센터 등 파트너 기관이 함께 참여했고 얼반유스아카데미가 주관해 운영했다.아주대, 한양대, 한국산업기술대 3개 대학의 학생 29명과, 말레이시아를 비롯한 해외 각국의 학생 36명이 참가했다. 참가자들이 사회적 벤처기업의 정의와 개념, 사회적 기업의 가치 창출과 세계적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이 구성됐다. 참가자들은 UN이 제시한 17가지 지속가능한 개발목표(SDGs*) 달성을 위한 청년층의 역할에 대해 함께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UN은 인류의 보편적 문제(빈곤, 질병, 교육, 여성, 아동, 난민, 분쟁 등)와 지구 환경문제(기후변화, 에너지, 환경오염, 물, 생물다양성 등), 경제·사회 문제(기술, 주거, 노사, 고용, 생산 소비, 사회구조, 법, 대내외 경제)를 해결하고자 국제 사회 최대 공동 목표를 발표한 바 있다. 한편 지난 8월31일 열린 결과 보고회에서는 ‘17 SDGs’ 달성을 위한 아이디어를 주제로 창업모델 프레젠테이션 발표가 진행됐다. 우리 학교 학생들이 각각 대상과 장려상을 수상했다.대상은 김영민(건축 4)학생의 에게 돌아갔고, 장려상은 전준표(건축 3)학생의 이 받았다.
-
1924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18-09-07
- 8126
- 동영상동영상
-
-
1922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18-09-06
- 9417
- 동영상동영상
-
-
1920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18-09-06
- 10052
- 동영상동영상
-
-
1918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18-09-05
- 10626
- 동영상동영상
-
우리 학교가 수원시, 수원남부경찰서, 한국교통안전공단과 ‘상습 정체 구간 해소를 위한 산·학·관 협업 협약’을 체결했다. 이들 기관은 앞으로 TF를 구성해 관내 상습 정체 구간의 교통 문제를 공유하고, 개선안을 도출해 적용해갈 예정이다.협약식은 지난 3일 도시안전통합센터 상황실에서 염태영 수원시장, 박생수 남부경찰서장, 박상언 한국교통안전공단 경기남부본부장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우리 학교에서는 이철기 ITS 대학원장이 참석했다. 수원시의 주요 정체 구간은 경수대로(못골사거리∼영화초교 사거리), 권선로(매탄권선역∼곡선사거리), 덕영대로(망포역∼권곡사거리), 세화로(벌터교차로∼세류사거리) 등이다.수원시는 드론을 활용해 정체 구간 촬영과 데이터 분석을 담당하고, 수원남부경찰서는 교통신호와 교통 체계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개선 방안에 대한 교통 안전성을 검증하고, 우리 학교 ITS대학원은 개선 방안 시뮬레이션 테스트로 수원시에 최적화된 차량 정체 해소방안을 찾게 된다.
-
1916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18-09-05
- 9801
- 동영상동영상
-
-
1914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18-09-05
- 9497
- 동영상동영상
-
-
1912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18-09-03
- 11541
- 동영상동영상
-
-
1910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18-09-03
- 10467
- 동영상동영상